-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전기관련자료 2008. 11. 27. 08:23
==========전자파란============
전기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에너지의 형태로써 전계(電界)와 자계(磁界)의 합성파입니다.전자파는 우리 주변에 사용중인 전기기계.기구로부터 방출되는데
전기장파는 전기의 힘이 수직으로 미치는 공간을 말하며 미터당 볼트(V/m)로 표시하고,
자기장파는 자기의 힘이 수평으로 미치는 공간을 말하며 단위는 보통 밀리가우스(mG)로 표시합니다.
전자파는 주파수(1초에 진동하는 횟수)에 따라 가정용 전원주파수 60Hz, 극저주파 (0~1kHz) 저주파 (1k~500kHz), 통신주파(500kHz~300MHz), 마이크로웨이브(300MHz-300GHz)로 분류되고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감마선 순으로 주파수가 높아지고 이중 극저주파와 저주파는 전계와
자계가 발생되어 인체가 장시간 노출되면 체온변화와 생체리듬이 깨져 질병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들은 정자수가 줄어들고 여성들은 생리불순 및 기형아 출산의 원인이 될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심한 경우 뇌종양을 일으킬 수 있어 세계보건기구(WHO)가
조사에 나서는 등 전자파에 의한 유해성이 속속 밝혀지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전자파에 대해 유해하다는 결론이 나지 않았지만 가급적 전자파 발생원으로부터 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해사례=========
1998
한국
한림대학교 전자파 연구소에서 사람과 생체기관이 거의 유사한 실험쥐를 상대로 한 무리는 전자파에노출시키고 한 무리는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실험.(노출 전자파는 평균 노출전자파인 5∼7mG).
- 전자파에 노출된 쥐 → 80%가 간암, 위암, 백혈병 등 각종 질병에 전염.
- 전자파에 노출되지 않은 쥐 → 아무런 이상 없음.독일의 환경부 장관인 볼프강 캠머는‘극저주파의전자파가 비열적 생체 효과도 유발시킨다는 징후가 있다.’고 발표.
핀란드 대학의 Juutilainen박사의 발표‘고압선로에서 발생하는 6.3mG 이상의 자계에 노출된 여성은 비노출그룹의 여성에 비해 유산할 확률 5배 증가.’
일본의 니카티 시립병원의 소아신경과 전문의인 사토마사히사가 중학교 2학년생 4천 4백 70명을 대상으로조사한 보고서.
- 비디오게임을 즐기는 학생들 중 30%가 게임중이나 직후에 두통 및 눈의 피로를 비롯해 각종 건강상의문제를 호소했다.(견비통 722명, 집중력 장애 435명, 어지러움증 292명, 눈의 피로 287명, 두통 256명,
모든 것이 까맣게 보였다 64명, 구토 34명, 발작 15명, 졸도 6
========= 인체에 미치는영향=========
1. 인체에 미치는 영향
주파수가 높은 강한 전자파가 인체에 도달하면 전신 또는 부분적으로 체온이 상승하여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열적 작용이라고 부릅니다.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는 체내에 유도된 전류가 신경을 자극하는데 이것을 자극작용이라고 부릅니다. 신경계의 기능은 체내의 전기 화학적 변화에 의하여영향을 받으므로, 아주 강한 전자파는 스트레스를 일으키거나 심장질환, 혈액의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여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인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약한 레벨의 전파에서는,
이러한 작용이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확실한 근거는 아직까지 없습니다.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전자장 피복에 따른 멜라토닌 생산 기능의 저하 및 리듬 변화의 가능성 검토(국립환경연구원 환경보건연구부 환경보건과 Brain Pool 유치 과학자 홍승철,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소장 김윤신, 전자장 폭로에 따른 멜라토닌 생산 기능의 저하 및 리듬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와 전자계 환경에서의 인체 유도 평가(한국 전기연구소 명성호, 전력설비의 전자계 환경과 인체 유도 영향에 관한 연구)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해결방안==========
다음은 침실과 각종 전기기기에서의 노출 감소방안이다.
1. 침실 : 취침시의 고 노출은 장기간 노출된다는 사실과 세포활동이 거의 정지된다는 사실 때문에 각별히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므로 취침할 때에는 특히 머리부근에 전자제품을 멀리하며 그것이 불가피할
경우에는 플러그를 뽑아 두어야 한다. 또한 콘센트 부근 및 벽 뒤에 냉장고 같은 전력소모가 큰 전기제품이
있는 장소는 잠자리로서 피하는 것이 좋다.
2. 전기매트, 전기온돌, 전기장판 : 전기매트, 전기온돌, 전기장판 등은 열선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장기간 노출, 취침시 사용 및 밀착사용 등으로 가정용 전기제품 중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제품이다. 자기장 평균은 제품에 따라 36.1∼93.8mG, 전기장 평균은 28.7∼164.4V/m정도로 매우 높다. 그러므로 사용 30분전에 동작을 시키고 취침할 때에는 스위치를 끌 뿐만 아니라 플러그를 뽑아 두는 것을 권장한다.
3. 전기 면도기 : 전기 면도기는 얼굴에 밀착시켜 사용하므로 전기매트와 비슷하게 전자기장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제품의 하나이나 사용시간이 비교적 짧고 건전지용 면도기는 교류전원용 면도기에 비해 훨씬 약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4. 헤어 드라이어 : 헤어 드라이어 역시 강력모터 및 많은 전력을 사용하므로 강한 전자기장을 방출한다. 그러므로 가급적 가장 낮은 세팅(low)으로 단시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감소하므로 가능한 한 거리를 두고 사용하면 노출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5. 전자레인지 :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 발생장치인 마그네트론이 고압 및 고전류를 사용하므로 작동시 2.45㎓의 마이크로파의 누설 및 60Hz의 강한 자기장이 발생하는데, 밀착측정에서 최대 1070mG까지 방출하는 전자레인지도 있다. 그러므로 작동시 적어도 2m 정도의 거리를 두면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전자레인지는 작동을 시키지 않더라도 마그네트론이 항상 예열 상태에 있으므로 이로 인해 강한 자기장이 항상 발생되므로 가급적 전자레인지를 구석진 곳에 설치하여 노출을 감소시킬 것을 권장한다. 마그네트론이 위치한 컨트롤 패널 부위에서 강한 자기장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장기간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플러그를 뽑아 두는 것이 좋다.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높은 출력의 마이크로파는 바깥으로 누출되는 출력이 미국 FDA에서 규정한 수치(2㎽/㎠)이하여야만 출고가 된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할 때 도어와 본체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고무패킹이 손상되면 마이크로파가 누출이 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고무패킹을 육안으로 검사하고 닦아주어야 한다.
6. 전기스탠드 : 전기스탠드는 학생들이 장시간 근거리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특히 전기스탠드 몸체에 있는 변압기가 사용자와 거리가 가까울 경우에는 많은 전자기장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전기스탠드의 선택시 이점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7. 휴대폰 : 휴대폰의 전자파는 주파수가 800㎒∼2㎓인 마이크로파로서 안테나에서 집중적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안테나가 얼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안테나를 뽑아 사용하면 뇌로의 노출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폴더형의 경우 사용시 안테나와 두부와의 거리가 플립형에 비해 멀기 때문에 노출이 적어진다.
8. 공기청정기, 가습기 등 : 음이온 방생장치는 고압을 발생시키므로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며 공기청정기는 강력모터를 구동시키므로 강한 자기장이 발생된다. 또한 모든 전기제품은 콘센트 전원의 접지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을 경우 작동을 시키지 않더라도 콘센트에 연결만 되어 있어도 매우 강한 전기장이 발생된다. 이러한 제품들은 가능한 한 구석진 곳이나 높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9. TV 및 컴퓨터 오락기 : TV는 기본적으로 컴퓨터 모니터와 구조가 같으므로 전자기장 발생량도 비슷하나 대개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 시청을 하므로 별 문제가 안된다. 그러나 아동들의 경우 TV 바로 앞에서 시청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컴퓨터 오락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동 및 학생들의 경우 적어도 1 m 이상 떨어져서 TV시청 및 컴퓨터 오락을 하도록 부모들이 신경을 쓰도록 하여야 한다.
10. 컴퓨터 : 국내에도 스웨덴의 모니터 규격이자 EU의 규격인 TCO 규격(모니터 전면 30cm 거리에서 ELF 전기장 : 10V/m, 자기장 : 2mG)에 적합한 모니터가 시판되고 있으며, 배터리로 동작하는 노트북 컴퓨터는 전자기장이 매우 약하다.'전기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 규격 확인용/할로켄램프/ (0) 2008.12.07 감전전류~~ (0) 2008.12.03 vs motor 회로도(토오크형과 일반속도제어형) (0) 2008.11.24 자동 역률 조정기 (0) 2008.11.24 한전 전기 요금제 081124 (0) 2008.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