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등 결선
유도등결선시 W,B는 유도등 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연결하고, R은 원격 제어SWITCH로 연결하여야함.
[잘못된 3선식 결선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1.잘못된 유도등 결선으로 인한 유도등 충격으로 수명 단축
2.충전과 LAMP 결선이 바뀜으로 인해 연동운전시 평상시 LAMP점등 화재시 LAMP점등 및 충전
즉 LAMP는 항시 점등되고 감지기 작동 또는 원격 제어SWITCH 작동시 충전이됨
이대로라면 아마도 예비전원 BATTERY가 있으나 마나겠지요
(정상적인 운전=평상시:충전, 화재시:LAMP점등 및 충전)
포설된 선로가 아래의 그림처럼 명확하게 색상으로 구분되고, 선로 포설시 선로 도중에
색상이 뒤바뀌지 않았다면 색상 구분만으로도 쉽게 찾을수 있을것이다. 본 내용은 위의 내용처럼 색상으로 구분되지 않았거나 구분되어있더라도 명확하다고, 확신할 수 없을때 선로을 찾는 방법이다.
[선로 CHECK FLOW]
1.수신반의 유도등 on/OFF SWITCH를 OFF 시킨다.
2.현장의 3선중 무전압 선로을 R로 결선한다.
3.수신반의 유도등 on/OFF SWITCH를 on 시킨다.
4.테스터기를 AC[V] MODE로 놓고 현장의 3선중 R선에 적색 리드선 닿고 그외2선에 리드선을 대어
보아 AC220V가 확인되는 선을
W로 결선하고, 나머지를
B선에 연결한다.
[3선식 유도등이 점등되어야 할때]
1.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한 때
2.비상경보설비의 발신기가 작동할 때
3.상용전원이 정전 될 때
4.수신기에서 수동으로 점등시킬 때
5.자동소화설비가 작동할 때
-밧데리 상태의 점검은 외부에 있는 점검스위치를 작동하여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점검스위치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AC전원이 차단되며 밧데리로 점등되는데
이때 점등 유지시간이 20분 이상 되어야 정상적인 밧데리라 할 수 있다.
[주의]
2선식 유도등을 절전을 위하여 꺼 놓으면 유도등내의 밧데리가 충전이 되어있지않아
정전시에도 점등이 안된다